공용면적 계약면적 전용면적 뜻과 차이점 완벽 정리
공용면적 계약면적 전용면적 뜻과 차이점 완벽 정리

최근 부동산 시장을 살펴보거나 아파트 분양 공고를 확인하다 보면 전용면적, 공용면적, 계약면적 등 다양한 면적 용어들이 나와서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실제로 같은 크기라고 생각했던 집이 막상 가보니 예상보다 훨씬 작아서 당황했던 경험이 있으신 분들도 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면적 표기 방식이 달라서 더욱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은데요. 부동산 계약 전에 이러한 면적 개념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용면적 계약면적 전용면적 뜻과 차이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내 집 마련을 준비하시거나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는 꼭 필요한 정보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1. 전용면적이란?

전용면적은 쉽게 말해서 우리 가족이 실제로 생활하는 공간의 면적을 의미하는데요. 현관문을 기준으로 세대 내부에 있는 거실, 침실, 주방, 화장실 등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공간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정부에서는 주택 면적에 대한 혼동을 줄이기 위해서 계약서나 아파트 입주자 모집공고에서는 법적으로 전용면적을 표기하도록 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전용면적이 중요한 이유는 실거래가 확인이나 등기부등본에도 이 면적이 기재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할 점이 하나 있는데요. 우리가 흔히 베란다라고 부르는 발코니는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발코니는 서비스면적으로 분류되어서 따로 계산되는데요.
이런 이유로 최근 분양되는 아파트들은 대부분 발코니 확장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어서, 같은 전용면적이라도 예전 아파트보다 실내가 훨씬 넓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파트를 볼 때 발코니 면적까지 꼼꼼히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전용면적과 서비스면적을 합친 것을 실면적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이는 법적 용어는 아니지만 시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특히 빌라나 원룸에서는 실평수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 여기에는 전용면적과 발코니가 모두 포함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 공용면적의 종류와 의미
공용면적은 말 그대로 여러 세대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을 의미하는데요. 이는 크게 주거공용면적과 기타공용면적으로 나누어집니다.

1> 주거공용면적
주거공용면적은 한 건물 안에서 다른 세대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인데요.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공동현관, 비상구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건물의 지상층에 있는 공용 공간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것 같네요.
이러한 주거공용면적은 각 세대의 전용면적 비율에 따라서 나누어지는데요. 쉽게 말해서 큰 평수에 사는 세대가 더 많은 주거공용면적을 부담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2> 기타공용면적
기타공용면적은 주거공용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공용 공간을 말하는데요. 주차장, 경비실, 관리사무소, 노인정, 커뮤니티 시설 등 건물 밖이나 지하층에 있는 부대시설들이 포함됩니다.
최근 아파트들은 헬스장, 독서실, 게스트하우스 같은 커뮤니티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서 기타공용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인데요. 이런 시설들이 많으면 생활은 편리하지만, 그만큼 관리비 부담도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은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공급면적과 계약면적 차이

1> 공급면적
공급면적은 전용면적에 주거공용면적을 더한 면적을 의미하는데요. 흔히 우리가 “32평 아파트”, “25평 아파트”라고 말할 때 사용하는 평수가 바로 이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아파트 분양가를 책정할 때도 이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분양면적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일반적으로 아파트에서는 이 공급면적을 분양면적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2> 계약면적
계약면적은 공급면적에 기타공용면적까지 모두 포함한 가장 큰 개념의 면적인데요.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 기타공용면적을 모두 합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이 계약면적을 분양면적으로 사용하는데요. 이렇게 되면 같은 분양면적이라도 아파트보다 오피스텔의 실제 생활 공간이 훨씬 작게 느껴지는 이유가 됩니다.
3> 아파트와 오피스텔 비교

실제로 아파트는 전용률이 70~80% 정도인 반면, 오피스텔은 30~40% 수준에 불과한데요. 이는 오피스텔이 계약면적을 기준으로 분양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이입니다.
예를 들어서 같은 100㎡ 분양면적이라고 해도, 아파트는 실제 생활 공간이 70~80㎡ 정도 되지만 오피스텔은 30~40㎡밖에 안 된다는 의미인데요. 그렇기에 오피스텔을 구매하실 때는 반드시 전용면적을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맺음말

오늘은 공용면적 계약면적 전용면적 뜻과 차이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전용면적은 실제 생활 공간, 공급면적은 전용면적에 주거공용면적을 더한 것, 계약면적은 모든 면적을 포함한 것이라고 정리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네요.
특히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임대할 때는 어떤 면적 기준으로 표기되어 있는지 꼭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한데요. 같은 면적이라도 기준이 다르면 실제 크기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집을 구할 때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비교하시되, 발코니 같은 서비스면적도 함께 고려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또한 오피스텔과 아파트를 비교하실 때는 면적 표기 방식의 차이를 반드시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