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새로운 관세 정책 발표…반도체·기술 산업에 미칠 파장과 전망은?
미국, 새로운 관세 정책 발표…반도체·기술 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과 전망은?

2025년 4월 2일,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롭고 대규모의 관세 정책을 전격 발표해 전 세계 경제가 큰 파장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명명된 이번 발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강력한 조치를 공식화하였는데요. 각국 정부와 기업이 긴장 속에 대응책 마련에 나서는 상황입니다.
2025년 4월 2일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무역적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국가들에 대해 “상대국 대응 관세(Reciprocal Tariffs)”를 부과하고, 기존 $800 이하 소액 배송품 면세 제도까지 폐지하는 등 전방위적인 관세 강화 조치를 예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4월 5일 0시(EDT)부터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가 부과되고, 4월 9일 0시(EDT)부터는 중국(34%), 대만(32%), 베트남(46%), 한국(25%), 일본(24%), 인도(26%), 유럽연합(EU)(20%) 등 무역수지 적자국을 대상으로 보다 높은 추가 관세가 적용됩니다.
이러한 관세 강화 정책은 글로벌 무역구조를 뒤흔들어 놓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온라인 직구 수요가 높던 저가 상품까지 관세 폭탄을 피할 길이 사라지면서, 미국 내부에서도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편, 이번 관세 조치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거론되는 분야는 반도체와 IT 기술 산업입니다. 미국의 대표 반도체 업체인 엔비디아(NVDA)는 대만, 한국, 일본 등지에서 생산된 GPU 칩과 다양한 부품을 들여오고 있어, 관세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생산 비용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발표 당일인 4월 2일에는 엔비디아 주가가 $110.42로 소폭 상승하며 마감했으나, 다음 날부터 투자자들의 관세 우려가 본격화되면서 주가가 크게 요동치기 시작했습니다. 4월 3일과 4일 이틀 연속 폭락(-7.8%, -7.4%)으로 4월 4일 종가는 $94.31까지 떨어졌고, 이틀 새 시가총액의 15%가량이 증발했습니다. 주요 지지선인 $100선마저 무너져 투자심리가 급격히 냉각된 상황입니다.
이와 더불어 4월 4일 중국 정부가 보복관세(34%)와 희토류 수출 제한을 선언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교란 및 장기적인 경기 침체 가능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반도체, 배터리, 첨단 전자제품 등 첨단산업 핵심 소재인 희토류의 공급이 불안정해진다는 점은 전 세계 기술 기업들에게 커다란 악재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주말 기간 동안 미국과 교역량이 큰 국가들은 긴급 회의를 거듭하며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했습니다. 투자자들 역시 단기간 급락세에 따른 저가 매수 기회를 엿본 덕에, 4월 7일 엔비디아 주가는 $97.64로 소폭 반등(+3.5%)했습니다. 이는 대만·베트남·일본 등 주요 무역 파트너국이 미국과 협상을 재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4월 8일에는 오전 한때 엔비디아 주가가 $105까지 상승해 강한 랠리를 보였음에도, 장 후반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96.30으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하루 사이 12% 안팎의 변동폭을 기록한 것은 무역전쟁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4월 2일 관세 발표 직전에 비해, 엔비디아 주가는 약 13% 하락한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정책이 미국 반도체 기업뿐 아니라 전 세계 공급망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칩 자체에 대해서도 25% 이상의 추가 관세를 예고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생산 비용 급증과 공급망 혼란을 동시에 걱정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일본,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는 관세 면제나 축소를 위한 협상을 모색 중이며, 베트남은 미국의 강도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신속히 외교 채널을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 업체들은 생산 거점 다변화와 새로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반도체·첨단기술 소재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주요 국가 간 협력관계 강화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 새 관세 정책 발표 직후, 글로벌 무역 질서는 심각한 흔들림을 보이고 있으며 반도체 산업을 포함한 기술주 전반의 변동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관세율 인상과 보복관세 공방이 이어지며 시장 혼란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엔비디아가 일시적으로 반도체 칩 자체에 대한 관세 부과를 면했음에도, 머지않아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점이 투자자들에게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각국 정부의 협상 결과와 관세 정책 변화를 주시함과 동시에, 관련 기업들도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몇 달 이상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며, 미국 역시 자국 기업들의 피해가 커지면 일부 조정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관세율 면제나 유예 조치 등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외교적 협력 여부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향후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