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도스 노트북 윈도우 11 설치 방법 : 무료로 간단하게

프리도스 노트북 윈도우 11 설치 방법 : 무료로 간단하게

새학기가 시작되거나 학업에 활용하기 위해서, 또는 기존에 사용하던 기기가 노후화 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새로운 노트북을 구매하곤 하죠. 요즘은 인터넷을 이용해서 찾아보면 사용할 용도에 맞게 모델을 추천해주기도 하고 CPU나 그래픽 카드 등의 성능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이 내가 원하는 제품이 프리도스 노트북일때 입니다. OS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보니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기에 윈도우만 직접 설치해주면 되는데 해본적이 없어서 선뜻 손이가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더 높은 금액을 주고 낮은 스펙의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리도스 노트북 윈도우11 설치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누구나 무료로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으니 밑에서 함께 해보도록 하죠.

1. 윈도우11 설치 USB 만들기 – UEFI(BIOS) 진입

윈도우 11 설치 USB 만들기 포스팅

※ 윈도우 10, 11 설치 USB 만들기 : 포스팅 참고하기

진행 전에 우선 해주셔야 하는 것은 윈도우11 설치 USB를 만드는 것입니다. 8GB 이상의 USB메모리를 가지고 계시다면 위의 포스팅을 참고해서 만들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없으신 경우에는 금액이 별로 비싸지 않으니 이참에 하나 구매해두시면 좋겠네요.

다음으로 하셔야 하는 것은 구매한 프리도스 노트북의 제조사와 모델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건 구매한 플랫폼에서 확인하거나 제품의 겉면, 사용자 설명서 등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프리도스 노트북 부팅 메뉴 진입

부팅 시에 위와 같이 부트 매니저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SETUP을 눌러주시면 되고, 아닌 경우에는 다양한 단축키를 이용해서 UEFI에 진입해주셔야 합니다.

이건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차이가 많이 갈리는 부분이라 사용하는 키들을 전부 적어둘건데 전원을 키고 부팅 화면이 나오기 전까지 눌러주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F1],[F2],[F8],[F10],[F12],[Del] 키를 눌러주시면 되는데, 부팅까지 해당 키들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래도 안되는 경우에는 제조사와 모델명으로 구글링을 해서 찾아주시면 됩니다.

프리도스 노트북 UEFI(BIOS) 화면 - 레노버

과거에는 BIOS를 진입해서 키보드로 메뉴를 이동하며 변경하는 방식이였지만 요즘은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라고 해서 예전보다 친숙한 UI를 제공합니다. 특히 마우스를 쓸 수 있어서 조작이 편리하죠.

주로 Boot라고 하는 탭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해야 하는 이유는 우리가 설치 USB로 부팅하게 지정해야 정상적으로 윈도우를 셋팅 할 수 있기 때문이죠. 레노버의 경우에는 Boot -> Edit Boot Order 순서로 진입하시면 됩니다.

UEFI 부팅 순서 변경 - 1
UEFI 부팅 순서 변경 - 2

그리고 하단의 조작 키들을 읽으신 다음 USB Memory or USB HDD를 우선순위의 첫번째로 올려줍니다. 그리고 Exit에서 Exit Saving Changes라는 설정을 저장하고 종료하게 하면 됩니다. 하지만 바로 하지는 마시고 밑의 사진을 보고 눌러주세요.

프리도스 노트북 - 윈도우11 설치 USB 연결

구매하신 프리도스 노트북의 좌우측 측면에는 USB 포트가 있는데, 이곳에 만들어둔 설치 메모리를 장착한 뒤에 진행하시면 됩니다.

방금 전 UEFI 메뉴에서 Exit Saving Changes를 선택하시게 되면 자동으로 프리도스 노트북이 재시작되는데, 이때 설치 USB가 연결되어 있어야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이죠.

2. 프리도스 노트북 윈도우11 설치 – 초기 설정

윈도우 11 설치 화면 - 언어, 키보드, 시간

다시 부팅되고 나면 위와 같이 윈도우11 셋업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크게 변경하실 것이 없기에 다음을 눌러서 넘어가주시면 되겠습니다.

윈도우11 설치 - 정품 인증 절차

시작 후 처음으로 우리의 손을 멈추게 되는 것은 윈도우11 정품 시디키를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인터넷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별도의 키를 구매하셨다면 직접 입력해주시면 되죠.

이 외에 기존에 설치가 되었던 제품에 다시 셋업하시는 경우에는 노트북의 후면에 스티커가 있을 수 있으니 확인해서 기입하시면 됩니다.

혹시라도 두가지 다 없으신 분들은 [제품 키가 없음]을 눌러 일단은 인증을 패스하고 차후에 별도로 진행하셔도 됩니다.

또한 별도의 정품 키를 구매하지 않고 무료라고 볼 수 있는 미인증 상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만 보안 업데이트나 중요 업데이트가 지원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윈도우11 설치 약관

여기에서는 약관을 읽고 사용 조건에 동의해주시면 됩니다. 원래는 이런 부분도 다 읽고 해야 좋은데, 개인적으로 믿을만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것들은 그냥 동의하게 되더라구요.

이후에는 에디션을 선택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키를 입력하셨다면 맞는 것으로 자동으로 진행되실거고 별도의 정품 키를 입력하지 않으셨다면 하셨다면 Home Edition을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윈도우11 설치 유형 선택

여기에서는 [사용자 지정:Windows만 설치]를 클릭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업그레이드 쪽을 선택하면 호환성 보고서 창이 팝업되면서 재시작하라고 하는데 꼭 그렇게 해야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윈도우11 설치 - 파티션 설정
윈도우11 설치 파티션 2개 설정

다음은 윈도우11을 설치할 위치를 지정하는 절차인데요. 이 부분이 어려울 수 있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파티션을 나눈다. 라고 할때 수행하게 되는 과정입니다.

내가 별도로 HDD or SSD의 용량을 나누어 별도의 C드라이브 외에 D나 E를 만들겠다. 라는 분들이 아니라면 [새로 만들기(E)]를 누르고 적혀있는 그대로 적용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저는 나중에 약간 쓸곳이 있어서 2개로 나누어두긴 했는데, 가능하다면 여러분들은 그대로 셋팅하신 뒤에 다음을 눌러서 넘어가주시면 됩니다.

Win11 setup process

방금 전의 파티션까지 끝내셨다면 별달리 어려울 것은 없습니다.

다음을 누르다보면 그럼 Windows 설치 중이라는 창을 보실 수 있는데, 여기서부터는 끝날때까지 대기해주시면 됩니다. 완료되면 재부팅이 진행되고 몇가지 절차만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윈11 국가선택 페이지

여기까지 도착하셨다면 거의 다 끝내셨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이후에는 변경할 것이 없으시다면 예를 눌러서 넘어가시면 되는데, 정보의 제공이나 광고 등의 다양한 동의를 묻는 창들이 나오는데 원치 않는다면 안하는 쪽으로 눌러주시면 됩니다.

윈도우11 설치 USB 제거하기

그리고 이쯤에서 USB 메모리는 탈착해주도록 합니다. 여기까지의 해주는 것이 이 친구의 역할이었기 때문에 이젠 필요없기 때문이죠.

게다가 아까 전에 진행했던 UEFI의 부팅 순서를 아직 되돌리지 않았기에 여러가지 이유로 중간에 재부팅을 하게되면 다시 셋업 화면을 마주하게 되니까요.

3. 윈도우11 네트워크 연결 – 로컬 계정 사용하기

윈11 설치 중 네트워크 연결 페이지

이후 순서대로 진행하다보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집에 공유기도 켜져있고, Wi-Fi도 문제 없는데 한참을 기다려도 아무것도 뜨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11을 설치하면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아서인데, 프리도스 노트북에서는 종종 있을 수 있는 일이기에 약간의 조작을 통해 이 부분을 넘어가야 합니다.

이 외에도 윈도우11은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게 되어있는데 이 부분이 불편하거나 과거에 Win10과 동일하게 로컬 계정으로 쓰고 싶으신 분들은 리스트에 Wi-Fi가 보여도 누르지 말고 밑의 이미지를 참고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윈11 로컬 계정 이용 단축키

이 상태에서 키보드의 [Shift] + [F10]키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럼 옛날 컴퓨터에서 보던 도스창이 나오게 되는데, 혹시라도 이렇게 해도 반응이 없다면 위의 키와 [Fn]도 같이 눌러주시면 됩니다.

win11 로컬 유저 인증 방법 - cmd oobe\bypassnro

이렇게 팝업된 CMD 창에서 oobe\bypassnro 라고 타이핑 하시고 엔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럼 잠시 후 자동으로 재부팅되는데, 다시 켜지고 나면 간단하게 넘어갈 수 있습니다.

win11 로컬 유저 인증 방법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그럼 아까와 다르게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이라는 항목이 생성된 것이 보이게 됩니다. 해당 부분을 클릭하시면 다시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죠.

윈도우 로컬 유저 이름 설정 화면

저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셨다면 로컬 계정 입력 화면을 보시게 되고, 그렇지 않다면 중간에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구매한 프리도스 노트북의 경우 높은 확률로 이 과정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여기에는 PC에서 쓸 이름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통상적으로는 admin 같은 것을 많이 쓰는데, 원하신다면 본인의 이름이나 스타일에 맞는 것을 입력하셔도 되죠.

프리도스 노트북 윈도우11 설치 완료

전부 끝내셨다면 프리도스 노트북에 윈도우11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제조사의 홈페이지에 모델명을 입력하여 제공되는 드라이버들을 다운 받고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필요한 프로그램들도 하나씩 셋팅해주시면 되죠. 다만 높은 확률로 네트워크 어뎁터가 동작하지 않아 바로 와이파이에 연결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른 PC에서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나 3DP net을 다운받고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RECENT PO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