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사원 4.0 (Exaone 4.0) 사용법 정리
엑사원 4.0 (Exaone 4.0) 사용법 정리

최근 LG AI연구원에서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AI 모델인 엑사원 4.0을 공개했는데요. 거대언어모델(LLM)과 추론 AI 모델을 하 나로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델로, 글로벌 AI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매개변수가 320억개(32B)에 불과하지만, 훨씬 큰 딥시크-R1이나 큐원 3에 맞먹는 수준의 성능을 보여준다고 하니 정말 놀라운데요. 개인적으로는 이런 국산 AI 모델이 오픈소스로 공개되어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의미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사원 4.0 사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허깅페이스에서 다운로드하는 방법부터 프렌들리 AI 사용법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보도록 하죠.
1. 엑사원 4.0 (Exaone 4.0)이란?

엑사원 4.0은 2025년 7월 15일에 공개된 LG AI연구원의 국내 첫 하이브리드 인공지능(AI) 모델입니다. 기존의 LLM과는 다르게 일반적인 자연어 처리 능력과 복잡한 추론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점이 특징인데요.

엑사원 4.0은 전문가 모델(32B)과 온디바이스 모델(1.2B)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문가 모델의 경우 의사 국가시험, 변호사시험, 회계사, 노무사 등 6종의 국가공인 시험을 통과할 정도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고 하네요.
온디바이스 모델은 크기가 작아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기기에서도 실행할 수 있는데요. 지난해 12월 공개한 엑사원 3.5 2.4B 모델 대비 크기는 절반으로 줄였지만, 수학, 코딩, 과학 분야 등에서 GPT-4o 미니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뛰어난 성능을 가진 엑사원 4.0이 허깅페이스에 오픈 웨이트 모델로 공개되어 연구 및 학술, 교육 목적으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어 처리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국내 개발자들에게 특히 유용할 것 같네요.
2. 허깅페이스(huggingface)에서 사용하기

※ 엑사원 4.0 (Exaone 4.0) hugging face 링크
엑사원 4.0을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허깅페이스를 통한 것인데요. LGAI-EXAONE이라는 공식 조직 페이지에서 모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먼저 허깅페이스에 계정을 만들어야 하는데요. 계정 생성 후 엑사원 리포지토리에 사용 신청을 하고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승인은 보통 빠르게 처리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네요.
승인을 받은 후에는 허깅페이스 계정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진 토큰을 발행해야 하는데요. 토큰 권한 중에서 Repositories의 Read 권한은 필수로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이후 Python 환경에서 transformers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아래와 같은 코드로 모델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다만 32B 모델의 경우 파일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다운로드에 시간이 꽤 걸리고, 로컬에서 실행하려면 고성능 GPU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1.2B 온디바이스 모델부터 시작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네요.
Git LFS를 이용해서 전체 모델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이 경우에는 허깅페이스의 모델 페이지에서 직접 git clone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3. 프렌들리 AI 사용법 (엑사원 4.0)

위에서 알아본 허깅페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소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엑사원 4.0 사용해보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프렌들리 AI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에서는 간단한 계정 생성 후 로그인을 통해서 내가 원하는 AI 모델을 선택하고 사용해볼 수 있는데요. 고성능의 GPU가 없어도 Exaone 4.0 32B 모델을 이용할 수 있죠.

프렌들리 AI에 가입하고 로그인까지 완료하셨다면, 위의 엑사원 4.0 32B 모델 링크를 이용하여 접속해주시면 되는데요.
이후에는 Try in playground 버튼을 누르고 챗GPT나 Gemini와 같은 생성형 AI와 동일하게 엑사원 4.0을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프렌들리 AI에서 Exaone API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채팅 방식으로 무료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량에 제한이 있으니 이 부분은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API는 사용량 마다 과금되는 방식)
4. 맺음말
오늘은 LG AI연구원의 엑사원 4.0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이면서도 글로벌 톱 수준의 성능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정말 자랑스럽게 느껴지는데요. 특히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국내 AI 생태계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로컬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고, 설정 과정도 복잡할 수 있다는 점은 미리 알고 계시면 좋겠네요. 하지만 프렌들리AI를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도전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앞으로 엑사원이 더욱 발전해서 글로벌 AI 시장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특히 한국어 처리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국내 서비스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